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하던, 경영층을 대상으로 하던, 고객을 대상으로 하던지 간에,
현황보고(Status Reporting), 진척보고(Progress Reporting), 향후전망(Forecasting) 세가지를 내용면에서 갖추어야 한다.
통제를 위한 의미있는 정보는 구체적인 일의 수행 여부 뿐만 아니라 계획과 실행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이(Variance) 혹은 편차와 단기 성과가 좋아지고 있는지 나빠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경향(Trend)를 분석하여 얻을 수 있다.
성과측정 성과분석 보고 |
Cost Variance = Actual Cost - Planned Cost
3. 획득가치 분석(EVA, Earned Value Analysis)
목적은 프로젝트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해, Stakeholder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을 조기에 제공하는데 있다.
* Value
'가치'라고 번역되는데, 여기서 가치란 일의 화퍠가치를 의미하는데, 어떤일에 배정된 예산이 그일의 가치가 된다.
value = 일의 화폐가치 = 일에 배정된 예산 |
* PV(Planned Value)
'계획가치'라고 번역되는데, 성과를 측정하는 시점에서 완료하기로 계획된 일의 가치를 의미한다.
PV는 계획된 일에 배정된 예산으로 계산되며, 예정작업예산원가(BCWS, Budgeted Cost of Work Scheduled) 라고도 한다.
PV(BCWS) = 계획된 일의 가치 = 계획된 일의 예산 |
* AC(Actual Cost)
'실원가'로 번역되는데, 성과를 측정하는 시점에서 실행된 일에 실제로 발생한 원가를 의미한다.
수행작업실제원가(ACWP, Actual Cost of Work Performed)라고도 한다.
AC(ACWP) = 실제 발생한 원가 |
* EV(Earned Value)
'획득 가치'라고 번역되는데, 성과를 측정하는 시점에서 실제로 완료한 일의 가치를 의미한다.
EV는 실행된 일에 배정된 예산으로 계산되며, 수행작업예산원가(BCWP, Budgeted Cost of Work Performed) 라고도 한다.
EV(BCWP) = 실행된 일의 가치 = 실행된 일의 예산 |
* BAC(Budget At Completion)
프로젝트의 완료시점예산을 의미한다.
BAC = 프로젝트의 총 예산 |
1) 성과측정(Performance Measurement)
일정성과와 원가성과를 3개의 EVM변수(EV, PV, AC)로 측정하는 과정이다.
이외에 완료시점예산(BAC, Budget At Completion == 프로젝트 총 예산)도 측정 가능하다.
여기서 일반적인 성과측정방법과 EVM이 구분되는 점은 성과를 화폐가치로 치환한다는 점이다.
성과측정 = EV & PV & AC
'계획'된 일과 '실행'된 일을 화폐가치로 치환함으로써 '실제 발생한 원가'와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2) 성과분석(Performance Analysis)
성과측정의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이며 3가지로 구분된다.
- 일정성과분석(SV, SPI)
- 원가성과분석(CV, CPI)
- 총원가추정(EAC, VAC)
'Management > Mngt & Exc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nagement] 투자 성과 (1) | 2016.08.26 |
---|---|
[Management] 성과보고 - 계약 (0) | 2016.08.25 |
[Management] 성과보고 - 성과분석 (0) | 2016.08.24 |
[Management] 성과보고 - 성과측정 (0) | 2016.08.24 |
[Management] 경제성 분석 (0) | 2016.08.17 |
[Management] 원가 및 비용 (0) | 2016.08.17 |
[Management] Project Planning (0) | 2016.08.15 |
Operation(Sales, Business, Developer)을 위한 Excel Template (0) | 2016.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