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선택하거나 기존 프로젝트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같은 의사결정을 돕기위해 프로젝트의 투자가치를 비교하는 것이다.

- NPV(순현재가치, Net Present Value)
- B/C Ratio(편익/비용 비율)
- Payback period(회수기간)
- IRR(내부수익률, Internal Rate of Return)
- FYRR(초기년도 편익률, First-Year Rate of Return) 건설쪽..
- 민감도 분석
- 재무 분석
등등등 이 있다.

경제성 분석은 대략적으로 아래 3단계에 따라 진행한다.

I. 편익(Benefit)과 비용 추정
    - 프로젝트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편익과 비용을 추정한다. 이 수치들은 Cash Flow(현금흐름)으로 나타난다.
    - Total Benefits(TB, 총편익) : 프로젝트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모든 편익(Benefits, income, revenue)을 현재가치로 계산하여 합한 값
    - Total Costs(TC, 총비용) : 프로젝트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모든 비용(costs)을 현재가치로 계산하여 합한 값

II. 현재가치 계산
    - 이자율(할인율)을 적용해 각기 다른 시기에 발생하는 편익과 비용의 현재 가치를 계산한다.

III. 분석기법 적용
    - 총편익과 총비용을 비교하여 투자 가치가 높은 프로젝트를 판단한다.

1. PV(현재가치, 현가)
미래의 가치를 현재의 가치로 환산한 값이며, 할인가치(discount value)라고도 한다.
1,000,000을 지금 당장 받는 경우, 1년후에 받는경우 어느쪽이 유리한가?

이자 = 현가가치 * 이자율
미래가치 = 현재가치 + 이자
미래가치 = 현재가치 + 현재가치 * 이자율
미래가치 = 현재가치(1+이자율)
현재가치 = 미래가치/(1+이자율)

* FV(미래가치, Future value)
* r : 단위기간당 이자율(할인율, rate of discount)
* n : 단위기간의 개수


2.  NPV(순현재가치)
NPV(Net Present Value) = TB - TC
총편익에서 총비용을 뺀 값
NPV가 +라면 편익이 비용을 초과하는 것이므로 해당 프로젝트는 경제적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됨.
따라서, 여러개의 프로젝트가 있을때 NPV가 큰 값이 투가가치가 가장 높음.

3. BCR(편익/비용 비율, Benefit Cost Ratio)
총편익을 총비용으로 나눈 값
Benefit/Cost Ratio = TB/TC
NPV와 비슷한데, 프로젝트의 편익/비용 비율이 1보다 크면 편익이 비용보다 큰 것이므로 경제적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됨.
NPV와 마찬가지로 여러개의 프로젝트가 있을때 BCR값이 큰 프로젝트가 투가가치가 더 높음.

4. Payback Period(투자 회수 기간)
투자액을 회수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총편익이 총비용을 상쇄하기까지 걸리는 기간)
회수기간이 짧을 수록 투자 원금의 회수가 빨리 된다는 의미로, 편익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프로젝트의 경제성 분석에 적당한다.
이말은 TB=TC를 만족시키는 기간 n을 계산하는 것으로 구할 수 있다.
Payback Period = t?, r=고정 = TB=TC

5. IRR(내부수익률, Internal Rate of Return)
정해진 기간 내에 투자액을 회수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자율이다.
프로젝트를 은행상품으로 가정했을때의 이자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자율이 높은 상품이 투자가치가 높듯이 IRR이 높은 프로젝트가 투자가치가 높다.
TB=TC를 만족하는 이자율 r로 구해진다.
IRR = t=고정, r=? = TB = TC


오피스텔에 1억을 투자, 5년후 1억8천의 편익이 발생하는 프로젝트, 이자율 10%
TC(총비용) = 1억
TB(총편익) = 1억 1천
NPV(순현재가치) = 1천
BCR(편익/비용 비율) = 1.10


6. EPV


* NPV와 비슷하지만, 위험이라는 변수가 포함됨.

... 정리중




+ Recent posts